728x90

호로스코프벨린 오라클카드의 스프레드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 이어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호로스코프벨린 오라클카드의 배열법입니다.
보통 메인 타로카드에 대한 보조덱으로 한두장 정도 뽑아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독으로 점을 볼 때의 배열법은 번외로 취급되기도 합니다. 그럴 경우 타로카드를 완전히 배우지 못한 사용자에 대한 활용도가 떨어지는 아쉬움이 남지요. 그래서 타로카드보다 더 대중적이고 이해하기 쉬우면서 정확도가 높은 호로스코프벨린 카드를 단독으로 리딩할 때는 어떠한 배열법을 사용하면 좋은지, 정품에 첨부된 원본 가이드북을 따라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8-8 배열법

카드를 섞고 나눈 후, 전체 카드 더미를 쭉 진열합니다. 

진열한 카드에서 8장의 카드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그림이 아래로 향하도록 차례로 배열하면 그 세트가 1번 배치가 됩니다. 또 다시 진열한 카드에서 8장의 카드를 선택하여 1번 배치의 8장 위에 각각 1장씩 두면 2번 배치가 완료 됩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3번째 배치를 배열하고 나면 총 24장의 카드가 3장씩 묶인 8개의 카드 더미가 완성됩니다.

각 더미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뒤집습니다. 뒤집은 순서대로 오른쪽->왼쪽 순으로 해석합니다.

(응용)

총 6장씩 배치하여 8개의 더미를 만들 수도 있으며 이 경우 3장의 카드가 남게 됩니다. 

이 때 각 더미에 해당하는 질문을 잘 설정하도록 합니다.

 

자유의지 배열법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카드를 미리 빼둘 수 있습니다. (질문의 주제와 카드의 상징이 서로 맞지 않는 속성으로 판단 가능한 경우 등) 이 경우 여러분은 운명, 건강, 사업, 성향, 소송 등과 관련된 특정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성질의 카드만 따로 보관합니다. 결국 이 카드들은 명확한 질문에 대한 답을 줄 수 있으며 뽑지 않은 카드들은 제외합니다. 선별한 카드를 섞은 다음 전체를 부채꼴로 펼치고, 5장의 카드를 고릅니다. 카드의 그림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고 오른쪽에서 왼쪽 순서대로 배열 합니다. 카드를 뒤집으며 순서대로 리딩합니다.

 

 

조디악기반 소원배열법

카드를 섞은 다음 12장의 카드를 그림이 아래로 향하게 하고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한 줄 배열합니다. 8-8 배열법과 마찬가지로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4번째 열까지 분배합니다. 그러면 총 12개의 더미 각각이 4장의 카드를 포함한 카드 배치가 완성됩니다. 이럴 경우 총 48장의 카드가 소요되며 4장의 카드가 잔류하게 됩니다. 이렇게 쌓은 각 더미는 12궁도의 하우스와 각각 매치되어, 각 항목별로 아래에 설명된 범주 중 하나에 대한 주제와 맞물립니다. 

* 카드 더미를 집어들기 전에, 소원이나 답을 알고 싶은 질문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봅니다.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읽기 시작하면, 각 더미는 황도12궁의 하우스 중 하나를 아래와 같이 식별합니다.

1. 전체 운세

2. 소유, 재산, 재물

3. 형제, 모임, 우정

4. 부모, 가족재산

5. 자녀

6. 건강상태

7. 결혼, 협회, 조합, 법적분쟁

8. 업무, 사고, 사망

9. 여행, 육적 및 영적 변화

10. 명예, 명성, 평판

11. 행운, 계획의성공, 보호

12. 고통, 잠재된위험, 생명에 관한

4장의 카드 더미는 각각 질문에 대한 답을 내야 합니다.

 

 

쌍둥이배열법

벨린오라클 카드

이 방법은 제안된 배열법들 중 가장 확실한 것으로, Belline Oracle(벨린 오라클)과 Belline Horoscope(호로스코프 벨린)을 모두 소지하여 함께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각 팩을 섞은 후 한 줄로 전체 오라클을 그림이 아래로 향하도록 엎어 펼친 뒤 두번째 줄에 호로스코프를 배치합니다. (두 카드 모두 52장으로 구성) 그 다음 8장의 오라클 카드를 첫 번째 줄에서 뽑고, 그림이 아래로 향하도록 엎어 배열합니다. 그 위에 호로스코프벨린을 8장 뽑아 위를 덮습니다. 배열은 오른쪽에서 왼쪽 순으로 진행하며 두 장의 카드 더미를 함께 뒤집어 같은 방향을 향하게 두고 해석을 시작합니다. 만약 한 더미의 두 카드가 비슷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전달한다면 그 결과는 근본적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두 카드의 의미가 서로 모순되거나 의심스럽다면 배치된 각각의 카드 더미에서 한 장씩 뽑습니다. 이 보조 카드들은 반드시 당신의 해석에 도움이 되어야 하고, 처음 뽑은 두 장의 카드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얼마든지 추가 카드를 뽑아볼 수 있습니다.

 

 수점 / 3연승식 배열법

위험한 게임(도박 등)에 흥미가 있는 다수 대중들의 요청에 따라 저자는 이 방법을 고안해 냈습니다. 이는 본질적으로 호로스코프벨린 카드의 영적인 가치를 침해하지는 않습니다. 경마 출주마 수를 파악한 뒤, 그 수에 맞추어 카드 오른쪽 윗모서리에 적힌 숫자에 상응하는 카드를 골라냅니다. (만약 30마리 출주마가 있을 경우 1번부터 30번까지의 카드를 뽑는다.) 나머지 카드는 따로 빼놓습니다.

골라낸 카드끼리 섞고, 그림이 아래로 향하도록 일렬로 늘어놓은 다음 세 장의 카드를 골라 뒤집습니다. 빈 종이에 해당 번호를 기록해 둡니다. 선택한 카드를 한번 더 섞고, 두 번의 절차를 더 반복하여 패턴의 도표를 그려봅니다. 그러면 경기에 유리한 숫자를 알 수 있고 베팅할 말과 관련하여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각각의 번호가 

1회 셔플 - 6 / 2 / 12

2회 셔플 - 6 / 2 / 12

3회 셔플 - 6 / 2 / 12 

일 경우 게임에 유리하며 앞으로 몇 주간 이 결과를 따라야 합니다.

 

만일

1회 셔플 - 2 / 6 / 11

2회 셔플 - 6 / 2 / 11

3회 셔플 - 4 / 11 / 7

로 나올 경우 가망이 없음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정확성을 높이려면, 실제 발표된 결과와 자신이 뽑은 수를 각각 비교해보며 연습할 수 있습니다.

728x9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